큰별쌤 최태성의 별★별 한국사 (심화 1-3급 별 채우기) – 08강 고대(문화1)
별별한국사 문제집의 별채우기 부록에서 채워야 할 칸을 더 늘렸어요, 흰색배경으로 보는 경우 문제 하단을 드래그 하면 정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(흰색으로 정답을 적었어요)
01 고구려는 수도에 □□을 설치하여 유학 교육을 하였고, 지방에는 □□을 설치하여 청소년에게 글과 활쏘기를 가르쳤다.
-> 고구려는 수도에 태학을 설치하여 유학 교육을 하였고, 지방에는 경당을 설치하여 청소년에게 글과 활쏘기를 가르쳤다.
02 □□□□석을 통해 신라에서 유학 교육이 행해졌음을 알 수 있다.
-> 임신서기석을 통해 신라에서 유학 교육이 행해졌음을 알 수 있다.
03 신라 설총은 ‘□□□’를 지어 신문왕에게 조언하였다.
-> 신라 설총은 ‘화왕계’를 지어 신문왕에게 조언하였다.
04 신라 설총은 한자의 음과 훈을 차용한 □□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.
-> 신라 설총은 한자의 음과 훈을 차용한 이두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.
05 김대문은 진골 귀족 출신으로 “□□□□”, “고승전”, “한산기” 등을 저술하였다.
-> 김대문은 진골 귀족 출신으로 “화랑세기”, “고승전”, “한산기” 등을 저술하였다.
06 □□□은 당에 건너가 빈공과에 합격하였으며, ‘토황소격문’과 “계원필경”을 지었다.
-> 최치원은 당에 건너가 빈공과에 합격하였으며, ‘토황소격문’과 “계원필경”을 지었다.
07 신라 □□왕은 유교적 학식을 갖춘 관리의 채용을 위해 □□□□□를 시행하였다.
-> 신라 원성왕은 유교적 학식을 갖춘 관리의 채용을 위해 독서삼품과를 시행하였다.
08 고구려 □□왕 때 □□□이 “유기”를 간추린 “□□”을 편찬하였다.
-> 고구려 영양왕 때 이문진이 “유기”를 간추린 “신집”을 편찬하였다.
09 백제 □□□왕은 고흥에게 “□□”를 편찬하도록 하였다.
-> 백제 근초고왕은 고흥에게 “서기”를 편찬하도록 하였다.
10 신라 □□왕은 거칠부에게 “□□”를 편찬하도록 하였다.
-> 신라 진흥왕은 거칠부에게 “국사”를 편찬하도록 하였다.
11 고구려 □□□는 도교 사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.
-> 고구려 사신도는 도교 사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.
12 백제 □□ □□□에서는 도교와 불교가 융합된 모습을 볼 수 있다.
-> 백제 금동 대항로에서는 도교와 불교가 융합된 모습을 볼 수 있다.
13 고구려 □□□왕은 중국 전진으로부터 불교를 받아들였다.
-> 고구려 소수림왕은 중국 전진으로부터 불교를 받아들였다.
14 백제 □□왕은 중국 동진으로부터 불교를 받아들였다.
-> 백제 침류왕은 중국 동진으로부터 불교를 받아들였다.
15 신라 □□왕은 □□□의 순교를 계기로 불교를 공인하였다.
-> 신라 법흥왕은 이차돈의 순교를 계기로 불교를 공인하였다.
16 □□는 무애가를 지어 불교 대중화에 노력하였고, “대승기신론소”, “□□□□□”을 저술하였다.
-> 원효는 무애가를 지어 불교 대중화에 노력하였고, “대승기신론소”, “십문화쟁론”을 저술하였다.
17 □□은 □□ 사상을 정립하고 현세에서 고난을 구제받고자 하는 □□ 신앙을 강조하였다.
-> 의상은 화엄 사상을 정립하고 현세에서 고난을 구제받고자 하는 관음 신앙을 강조하였다.
18 □□는 인도와 중앙아시아를 다녀와서 “□□□□□□”을 저술하였다.
-> 혜초는 인도와 중앙아시아를 다녀와서 “왕오천축국전”을 저술하였다.
19 고구려의 □□ □□ □□□ □□ 입상은 광배 뒷면에 새겨진 내용을 통해 제작 시기를 알 수 있다.
-> 고구려의 금동 연가 7년명 여래 입상은 광배 뒷면에 새겨진 내용을 통해 제작 시기를 알 수 있다.
20 서산 □□□ □□ □□ □□상은 백제를 대표하는 불상으로 ‘백제의 미소’라고 불린다.
-> 서산 용현리 마애 여래 삼존상은 백제를 대표하는 불상으로 ‘백제의 미소’라고 불린다.
21 경주 □□ □□ □□ □□ 입상은 신라의 대표적인 불상이다.
-> 경주 배동 석조 여래 삼존 입상은 신라의 대표적인 불상이다.
22 발해 □□□□상은 고구려의 문화 영향을 받은 불상이다.
-> 발해 이불병좌상은 고구려의 문화 영향을 받은 불상이다.
23 백제 □왕 때 건립된 □□ □□□□ 석탑은 목탑에서 석탑으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모습을 보인다.
-> 백제 무왕 때 건립된 익산 미륵사지 석탑은 목탑에서 석탑으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모습을 보인다.
24 부여 □□□□ □□ 석탑은 목탑의 구조를 띤 석탑으로, ‘□□□’이라고 불리기도 하였다.
-> 부여 정림사지 5층 석탑은 목탑의 구조를 띤 석탑으로, ‘평제탑’이라고 불리기도 하였다.
25 경주 □□□ □□ 석탑은 돌을 벽돌 모양으로 깎아 만든 석탑이다.
-> 경주 분황사 모전 석탑은 돌을 벽돌 모양으로 깎아 만든 석탑이다.
26 신라 선덕 여왕 때 □□의 건의로 세워진 경주 □□□ □□ 목탑은 고려 때 몽골의 침입으로 소실되었다.
-> 신라 선덕 여왕 때 자장의 건의로 세워진 경주 황룡사 9층 목탑은 고려 때 몽골의 침임으로 소실되었다.
27 경주 □□□ □□ 석탑은 석가탑이라고도 불리며, 신라식 석탑의 정형으로 간결하고 비례가 아름다운 것이 특징이다.
-> 경주 불국사 3층 석탑은 석가탑이라고도 불리며, 신라식 석탑의 정형으로 간결하고 비례가 아름다운 것이 특징이다.
28 경주 □□□ □□ 석탑을 보수하는 과정에서 □□□□□□□□경이 발견되었다.
-> 경주 불국사 3층 석탑을 보수하는 과정에서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이 발견되었다.
29 양양 □□□ □□ 석탑은 지방 □□에 의해 세워졌으며, 기단 1층 몸돌에 비천상과 불상 조각이 새겨진 것이 특징이다.
-> 양양 진전사 3층 석탑은 지방 호족에 의해 세워졌으며, 기단 1층 몸돌에 비천상과 불상 조각이 새겨진 것이 특징이다.
30 신라 말 선종의 유행으로 □□이 많이 제작되었는데, 대표적으로 화순 □□□ □□□ 사탑이 있다.
-> 신라 말 선종의 유행으로 승탑이 많이 제작되었는데, 대표적으로 화순 쌍봉사 철감선 사탑이 있다.
'한국사 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큰별쌤 최태성의 별★별 한국사 (심화 1-3급 별 채우기) – 10강 고려(초기 정치) (0) | 2022.01.16 |
---|---|
큰별쌤 최태성의 별★별 한국사 (심화 1-3급 별 채우기) – 09강 고대(문화2) (0) | 2022.01.16 |
큰별쌤 최태성의 별★별 한국사 (심화 1-3급 별 채우기) – 07강 고대(경제, 사회) (0) | 2022.01.07 |
큰별쌤 최태성의 별★별 한국사 (심화 1-3급 별 채우기) – 06강 고대(통일 신라, 발해) (0) | 2022.01.06 |
큰별쌤 최태성의 별★별 한국사 (심화 1-3급 별 채우기) – 05강 고대(백제, 신라) (0) | 2022.01.06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