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큰별쌤 최태성의 별★별 한국사 (심화 1-3급 별 채우기) – 06강 고대(통일 신라, 발해)

반지하닭발마녀 2022. 1. 6.
반응형

별별한국사 문제집의 별채우기 부록에서 채워야 할 칸을 더 늘렸어요, 흰색배경으로 보는 경우 문제 하단을 드래그 하면 정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(흰색으로 정답을 적었어요)

 

01 □□왕은 나 . 당 전쟁에서 승리하여 □□ □□을 이룩하였다.

-> 문무왕은 나 . 당 전쟁에서 승리하여 삼국 통일을 이룩하였다.

02 □□왕은 장인인 □□□의 반란을 진압하고 진골 귀족 세력을 숙청하여 왕권을 강화하였다.

-> 신문왕은 장인인 김흠돌의 반란을 진압하고 진골 귀족 세력을 숙청하여 왕권을 강화하였다.

03 □□왕은 왕권 강화를 위해 집사부 □□의 권한을 강화하였다.

-> 신문왕은 왕권 강화를 위해 집사부 시중의 권한을 강화하였다.

04 □□왕은 중앙군으로 □□□을 설치하고 백제, 고구려, 말갈인까지 포함하여 민족 융합을 꾀하였다.

-> 신문왕은 중앙군으로 9서당을 설치하고 백제, 고구려, 말갈인까지 포함하여 민족 융합을 꾀하였다.

05 □□왕은 관리에게 □□□을 지급하고 □□을 폐지하였다.

-> 신문왕은 관리에게 관료전을 지급하고 녹읍을 폐지하였다.

06 □□왕은 유학 교육을 위해 □□을 설립하였다.

-> 신문왕은 유학 교육을 위해 국학을 설립하였다.

07 통일 신라는 지방을 □주로 개편하였으며, 수도가 동남쪽으로 치우친 것을 보완하기 위해 □소경을 설치하였다.

-> 통일 신라는 지방을 9주로 개편하였으며, 수도가 동남쪽으로 치우친 것을 보완하기 위해 5소경을 설치하였다.

08 통일 신라는 □□□을 파견하여 지방관을 감찰하였다.

-> 통일 신라는 외사정을 파견하여 지방관을 감찰하였다.

09 신라는 지방 세력을 견제하기 위해 □□□ 제도를 실시하였다.

-> 신라는 지방 세력을 견제하기 위해 상수리 제도를 실시하였다.

10 신라 말 웅천주 도독 □□□의 난 이후 진골 귀족들의 왕위 다툼이 심화되었다.

-> 신라 말 웅천주 도독 김헌창의 난 이후 진골 귀족들의 왕위 다툼이 심화되었다.

11 신라 말 왕권이 약화되면서 지방에서 □□들이 반독립적인 세력으로 성장하였다.

-> 신라 말 왕권이 약화되면서 지방에서 호족들이 반독립적인 세력으로 성장하였다.

12 신라 말 일부 □□□ 세력은 골품제를 비판하며 새로운 사회 건설을 추구하였다.

-> 신라 말 일부 6두품 세력은 골품제를 비판하며 새로운 사회 건설을 추구하였다.

13 신라 말에는 □□이 호족의 후원을 받으며 성행하였다.

-> 신라 말에는 선종이 호족의 후원을 받으며 성행하였다.

14 신라 말 장보고는 □□□을 거점으로 반란을 도모하였다.

-> 신라 말 장보고는 청해진을 거점으로 반란을 도모하였다.

15 □□은 □□□를 도읍으로 후백제를 건국하고, 중국과도 외교 관계를 맺어 후당, 오월에 사신을 파견하였다.

-> 견훤은 완산주를 도읍으로 후백제를 건국하고, 중국과도 외교 관계를 맺어 후당, 오월에 사신을 파견하였다.

16 후백제의 □□은 금성을 습격해 □□왕을 살해하였다.

-> 후백제의 견훤은 금성을 습격해 경애왕을 살해하였다.

17 □□는 송악 지방 호족들의 후원을 받아 □□□□를 건국하였다.

-> 궁예는 송악 지방 호족들의 후원을 받아 후고구려를 건국하였다.

18 □□는 □□성을 비롯한 여러 관서를 설치하여 국가 체제를 갖추었다.

-> 궁예는 광평성을 비롯한 여러 관서를 설치하여 국가 체제를 갖추었다.

19 □□는 국호를 □□으로 바꾸고 □□으로 천도하였다.

-> 궁예는 국호를 마진으로 바꾸고 철원으로 천도하였다.

20 □□□은 지린성 □□산에서 발해를 세웠다.

-> 대조영은 지린성 동모산에서 발해를 세웠다.

21 발해는 □□□의 문화를 계승하였는데, 이는 온돌, 불상, 기와 무늬 등에서 알 수 있다.

-> 발해는 고구려의 문화를 계승하였는데, 이는 온돌, 불상, 기와 무늬 등에서 알 수 있다.

22 발해는 일본에 보낸 국서에서 □□ □□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여, 고구려 계승 의식을 드러냈다.

-> 발해는 일본에 보낸 국서에서 고려 국왕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여, 고구려 계승 의식을 드러냈다.

23 발해 □왕은 대문예로 하여금 □□ □□을 정벌하게 하였고, □□□를 보내 당의 등주를 공격하였다.

-> 발해 무왕은 대문예로 하여금 흑수 말갈을 정벌하게 하였고, 장문휴를 보내 당의 등주를 공격하였다.

24 발해 □왕은 □□이라는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였으며, 일본에 국서를 보내 외교적 고립을 탈피하고자 하였다.

-> 발해 무왕은 인안이라는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였으며, 일본에 국서를 보내 외교적 고립을 탈피하고자 하였다.

25 발해 □왕은 당의 선진 문물과 제도를 수용하여 3성 6부의 중앙 통치 체제를 정비하였다.

-> 발해 문왕은 당의 선진 문물과 제도를 수용하여 36부의 중상 통치 체제를 정비하였다.

26 발해 □왕은 □□이라는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였으며, 수도를 □□으로 옮기고 □□□를 개설하였다.

-> 발해 문왕은 대흥이라는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였으며, 수도를 상경으로 옮기고 신라도를 개설하였다.

27 발해 □왕은 □□이라는 연호를 사용하였으며, 이 시기에 발해는 전성기를 이루어 당으로부터 □□□□이라 불렸다.

-> 발해 성왕은 건흥이라는 연호를 사용하였으며, 이 시기에 발해는 전성기를 이루어 당으로부터 해동성국이라 불렀다.

28 발해의 중앙 관제는 당의 □□ □□를 모방하였으나 명칭과 운영 방식에서는 □□□을 가졌다.

-> 발해의 중앙 관제는 당의 36부를 모방하였으나 명칭과 운영 방식에서는 독자성을 가졌다.

29 발해의 3성 가운데 □□□의 장관인 □□□이 국정을 총괄하였다.

-> 발해의 3성 가운데 정당성의 장관인 대내상이 국정을 총괄하였다.

30 발해는 □경 □부 □주의 지방 행정 조직을 확립하였다.

-> 발해는 51562주의 지방 행정 조직을 확립하였다.

31 발해는 □□□을 두어 유학 교육을 실시하였다.

-> 발해는 주자감을 두어 유학 교육을 실시하였다.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