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큰별쌤 최태성의 별★별 한국사 (심화 1-3급 별 채우기) – 10강 고려(초기 정치)

반지하닭발마녀 2022. 1. 16.
반응형

별별한국사 문제집의 별채우기 부록에서 채워야 할 칸을 더 늘렸어요, 흰색배경으로 보는 경우 문제 하단을 드래그 하면 정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(흰색으로 정답을 적었어요)

 

 

01 고려의 건국 세력 가운데 중앙에 진출한 이들은 대대로 고위 관직을 독점하며 □□□□이 되었다.

-> 고려의 건국 세력 가운데 중앙에 진출한 이들은 대대로 고위 관직을 독점하며 문벌귀족이 되었다.

02 고려 말 원 간섭기 □□□□은 원의 세력을 배경으로 권세를 누리며 □□□을 소유하였다.

-> 고려 말 원 간섭기 권문세족은 원의 세력을 배경으로 권세를 누리며 대농장을 소유하였다.

03 후백제 □□의 군대는 □□□ 전투에서 왕건의 고려군에게 패배하였다.

-> 후백제 신검의 군대는 일천리 전투에서 왕건의 고려군에게 패배하였다.

04 태조는 후삼국 통일 후 민생 안정을 위해 구휼 기관으로 □□을 설치하였다.

-> 태조는 후삼국 통일 후 민생 안정을 위해 구휼 기관으로 흑창을 설치하였다.

05 태조는 호족에 대한 우호 정책으로 □□ 정책, 성을 하사하는 □□ 정책을 폈다.

-> 태조는 호족에 대한 우호 정책으로 결혼 정책, 성을 하사하는 사성 정책을 폈다.

06 태조는 호족에 대한 견제 정책으로 □□ 제도와 □□□ 제도를 시행하였다.

-> 태조는 호족에 대한 견제 정책으로 기인 제도와 사심관 제도를 시행하였다.

07 태조는 경순왕 김부를 경주의 □□□으로 삼았다.

-> 태조는 경순왕 김부를 경주의 사심관으로 삼았다.

08 태조는 □□을 중시하여 북진 정책의 전진 기지로 삼았다.

-> 태조는 서경을 중시하여 북진 정책의 전진 기지로 삼았다.

09 태조는 “□□”. “□□□□” 등을 저술하여 관리의 규범을 제시하였다.

-> 태조는 정계”, “계백료서등을 저술하여 관리의 규범을 제시하였다.

10 태조는 세자 대광현을 비롯한 □□ 유민을 포용하였다.

-> 태조는 세자 대광현을 비롯한 발해 유민을 포용하였다.

11 광종은 강제로 노비가 된 자를 해방시키는 □□□□□을 실시하여 호족 세력을 견제하였다.

-> 광종은 강제로 노비가 된 자를 해방시키는 노비안검법을 실시하여 호족 세력을 견제하였다.

12 광종은 □□의 건의를 받아들여 시험을 통해 관리를 뽑는 □□□를 도입하였다.

-> 광종은 쌍기의 건의를 받아들여 시험을 통해 관리를 뽑은 과거제를 도입하였다.

13 광종은 □□, □□ 등의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였다.

-> 광종은 광덕, 준풍 등의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였다.

14 광종은 백관의 □□을 제정하여 복색을 4등급으로 구분하였다.

-> 광종은 백관의 공복을 제정하여 복색을 4등급으로 구분하였다.

15 성종은 □□□의 □□ □□를 받아들여 통치 체제를 정비하였다.

-> 성종은 최승로의 시무 28조를 받아들여 통치 체제를 정비하였다.

16 성종은 전국에 □□을 처음으로 설치하고 □□□을 파견하였다.

-> 성종은 전국에 12목을 처음으로 설치하고 지방관을 파견하였다.

17 고려는 당과 송의 제도를 본떠 □□과 □□를 두고, 중추원, 어사대, 삼사 등의 중앙 정치 기구를 설치하였다.

-> 고려는 당과 송의 제도를 본떠 2성과 6부를 두고, 중추원, 어사대, 삼사 등의 중앙 정치 기구를 설치하였다.

18 □□□□□은 국정을 총괄하는 최고의 중앙 관서였으며 수장은 □□□□이었다.

-> 중서문하성은 국정을 총괄하는 최고의 중앙 관서였으며 수장은 문하시중이었다.

19 고려에는 중서문하성의 □□과 중추원의 □□이 만나서 회의하는 □□ 회의가 있었다.

-> 고려에는 중서문하성의 재신과 중추원의 추밀이 만나서 회의하는 재추 회의가 있었다.

20 □□□□는 주로 군사 관련 문제를 다루는 회의 기구였으며, 고려 말에 □□□□□로 명칭이 바뀌었다.

-> 도병마사는 주로 군사 관련 문제를 다루는 회의 기구였으며, 고려 말에 도평의사사로 명칭이 바뀌었다.

21 고려의 재추 회의 중 하나였던 □□□□은 법제와 격식을 논의한 임시 회의 기구였다.

-> 고려의 재추 회의 중 하나였던 식목도감은 법제와 격식을 논의한 임시 회의 기구였다.

22 중서문하성의 낭사와 어사대의 관원은 □□이라고 불렸으며, □□. □□. □□의 권한을 가지고 언론 기능을 담당하였다.

-> 중서문하성의 낭사와 어사대의 관원은 대간이라고 불렸으며, 간쟁. 서경. 봉박의 권한을 가지고 언론  기능을 담당하였다.

23 고려의 □□□은 왕명 출납과 군사 기밀을 담당하는 기구였다.

-> 고려의 중추원은 왕명 출맙과 군사 기밀을 담당하는 기구였다.

24 고려의 □□□는 관리 감찰과 풍기 단속을, □□는 화폐와 곡식의 출납과 회계를 담당하는 기구였다.

-> 고려의 어사대는 관리 감찰과 풍기 단속을, 삼사는 화폐와 곡식의 출납과 회계를 담당하는 기구였다.

25 고려의 지방은 일반 행정 구역인 □□와 군사 지역인 □□로 구성되었다.

-> 고려의 지방은 일반 행정 구역인 5도와 군사 지역인 양계로 구성되었다.

26 고려는 5도에 □□□를, 국경 지대인 양계에는 □□□를 파견하였다.

-> 고려는 5도에 안찰사를, 국경 지대인 양계에는 병마사를 파견하였다.

27 고려 시대에는 지방관이 파견된 □□ . □□보다 지방관이 파견되지 않은 □□ . □□이 더 많았다.

-> 고려 시대에는 지방관이 파견된 주군 . 주현보다 지방관이 파견되지 않은 속군 . 속현이 더 많았다.

28 고려 시대에 지방관이 파견되지 않은 속군, 속현의 경우 □□가 실질적으로 지배하였다.

-> 고려 시대에 지방관이 파견되지 않은 속군, 속현의 경우 향리가 실질적으로 지배하였다.

29 고려 시대에는 특수 행정 구역으로 □ . □□. □가 있었다.

-> 고려 시대에는 특수 행정 구역으로 향 . 부곡 . 소가 있었다.

30 고려의 중앙군은 국왕의 친위 부대인 □□과 수도 경비 및 국경 방위를 맡는 □□로 구성되었다.

-> 고려의 중앙군은 국왕의 친위 부대인 2군과 수도 경비 및 국경 방위를 맡는 6위로 구성되었다.

31 고려 시대 5도에는 예비군 성격의 □□□이, 양계에는 상비군 성격의 □□□이 설치되었다.

-> 고려 시대 5도에는 예비군 성격의 주현군이, 양계에는 상비군 성격의 주진군이 설치되었다.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