큰별쌤 최태성의 별★별 한국사 (심화 1-3급 별 채우기) – 09강 고대(문화2)
별별한국사 문제집의 별채우기 부록에서 채워야 할 칸을 더 늘렸어요, 흰색배경으로 보는 경우 문제 하단을 드래그 하면 정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(흰색으로 정답을 적었어요)
01 고구려의 □□□는 조선 태조 때 만들어진 천상열차분야지도에 영향을 주었다.
-> 고구려의 천문도는 조선 태조 때 만들어진 천상열차분야지도에 영향을 주었다.
02 금동 □□□와 □□□는 백제의 수준 높은 공예 기술을 보여준다.
-> 금동 대향로와 칠지도는 백제의 수준 높은 공예 기술을 보여준다.
03 신라는 선덕 여왕 때 천문 관측을 위해 □□□를 세웠다.
-> 신라는 선덕 여왕 때 천문 관측을 위해 첨성대를 세웠다.
04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범종은 통일 신라 성덕왕 때 만들어진 □□□ □□이다.
->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범종은 통일 신라 성덕왕 때 만들어진 상원사 동종이다.
05 현존하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목판 인쇄본은 □□□□□□□□□이다.
-> 현존하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목판 인쇄본은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이다.
07 백제 무왕은 익산 지역에 □□□를 건립하였다.
-> 백제 무왕은 익상 지역에 미륵사를 건립하였다.
08 신라 진흥왕은 경주에 □□□를 건립하였다.
-> 신라 진흥왕은 경주에 황룡사를 건립하였다.
09 신라는 통일 후 신라를 불국토로 만들려는 염원에서 □□□와 □□□을 건립하였다.
-> 신라는 통일 후 신라를 불국토로 만들려는 염원에서 불국사와 석굴암을 건립하였다.
10 통일 신라 시대 별궁 터인 동궁과 월지는 □□□라고도 불린다.
-> 통일 신라 시대 별궁 터인 동궁과 월지는 안압지라고도 불린다.
11 발해의 수도 □□은 당의 수도 □□을 본떠 만들었는데, 중앙에 남북을 가로지르는 □□□□가 있었다.
-> 발해의 수도 상경은 당의 수도 장안을 본떠 만들었는데, 중앙에 남북을 가로지르는 주작대로가 있었다.
12 고구려와 백제의 초기 무덤 양식은 □□□□□으로, 이를 통해 두 나라 건국 세력의 유사성을 알 수 있다.
-> 고구려와 백제의 초기 무덤 양식은 돌무지무덤으로, 이를 통해 두 나라 건국 세력의 유사성을 알 수 있다.
13 □□ □□무덤에는 천장과 벽에 □□가 남겨져 있기도 한데, 이를 통해 당시 모습을 짐작해 볼 수 있다.
-> 굴식 돌방무덤에는 천장과 벽에 벽화가 남겨져 있기도 한데, 이를 통해 당시 모습을 짐작해 볼 수 있다.
14 공주의 □□□□은 중국의 영향을 받은 □□무덤으로, 지석이 발견되어 무덤의 주인을 명확하게 알 수 있다.
-> 공주의 무령왕릉은 중국의 영향을 받은 벽돌무덤으로, 지석이 발견되어 무덤의 주인을 명확하게 알 수 있다.
15 신라의 대표적 무덤 양식은 □□□□□무덤은 구조상 도굴이 어려워 많은 껴묻거리가 출토되었다.
-> 신라의 대표적 무덤 양식은 돌무지덧널무덤은 구조상 도굴이 어려워 많은 껴묻거리가 출토되었다.
16 □□□ 묘는 신라의 대표적인 굴식 돌방무덤으로 무덤의 둘레돌(호석)에 □□ □□이 새겨져 있다.
-> 김유신 묘는 신라의 대표적인 굴식 돌방무덤으로 무덤의 둘레돌(호석)에 12지 신상이 새겨져 있다.
17 발해의 □□ □□ 묘는 굴식 돌방무덤으로, □□ □□ 묘는 벽돌무덤으로 만들어져 있다.
-> 발해의 정혜 공주 묘는 굴식 돌방무덤으로, 정효 공주 묘는 벽돌무덤으로 만들어져 있다.
18 발해 □□ □□ 묘는 천장 구조와 무덤에서 발견된 돌사자상 등을 통해 발해가 □□□의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다.
-> 발해 정혜 공주 묘의 천장 구조와 무덤에서 발견된 돌사자상 등을 통해 발해가 고구려의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다.
19 일본의 □□□□ □□ 벽화와 고구려의 □□□ □□ 벽화의 유사성으로 보아 두 나라가 교류하였음을 알 수 있다.
-> 일본의 다카마쓰 고분 벽화와 고구려의 수산리 고분 벽화의 유사성으로 보아 두 나라가 교류 하였음을 알 수 있다.
20 고구려의 승려 □□은 일본에 종이와 먹 제조 기술 등을 전파하였으며, □□□의 금당 벽화를 그렸다고 알려져 있다.
-> 고구려의 승려 담징은 일본에 종이와 먹 제조 기술 등을 전파하였으며, 호류사의 금당 벽화를 그렸다고 알려져 있다.
21 고구려의 승려인 □□는 일본으로 건너가 □□□ 태자의 스승이 되었다.
-> 고구려의 승려인 혜자는 일본으로 건너가 쇼토쿠 태자의 스승이 되었다.
22 백제의 학자 □□은 일본에 “□□□”과 “논어”를 전파하였다.
-> 백제의 학자 왕인은 일본에 “천자문”과 “논어”를 전파하였다.
23 삼국 시대의 □□ □□□□ □□ □□상과 일본의 □□ □□□□ □□ □□상의 형태가 유사한 것을 통해 삼국의 문화가 일본에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.
-> 삼국 시대의 금동 미륵보살 반가 사유상과 일본의 목조 미륵보살 반가 사유상의 형태가 유사한 것을 통해 삼국의 문화가 일본에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.
24 신라의 □□□이 일본으로 전해져 한인의 연못이 만들어졌다.
-> 신라의 축제술이 일본으로 전해져 한인의 연못이 만들어졌다.
25 가야의 □□ 제작 기술이 일본에 전해져 □□□ 제작에 영향을 끼쳤다.
-> 가야의 토기 제작 기술이 일본에 전해져 스에키 제작에 영향을 끼쳤다.
26 삼국의 문화는 일본의 □□□ 문화 형성에 영향을 끼쳤다.
-> 삼국의 문화는 일본의 아스카 문화 형성에 영향을 끼쳤다.
'한국사 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큰별쌤 최태성의 별★별 한국사 (심화 1-3급 별 채우기) – 11강 고려(중기 정치-무신 정변) (0) | 2022.01.16 |
---|---|
큰별쌤 최태성의 별★별 한국사 (심화 1-3급 별 채우기) – 10강 고려(초기 정치) (0) | 2022.01.16 |
큰별쌤 최태성의 별★별 한국사 (심화 1-3급 별 채우기) – 08강 고대(문화1) (0) | 2022.01.08 |
큰별쌤 최태성의 별★별 한국사 (심화 1-3급 별 채우기) – 07강 고대(경제, 사회) (0) | 2022.01.07 |
큰별쌤 최태성의 별★별 한국사 (심화 1-3급 별 채우기) – 06강 고대(통일 신라, 발해) (0) | 2022.01.06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