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큰별쌤 최태성의 별★별 한국사 (심화 1-3급 별 채우기) – 05강 고대(백제, 신라)

반지하닭발마녀 2022. 1. 6.
반응형

별별한국사 문제집의 별채우기 부록에서 채워야 할 칸을 더 늘렸어요,흰색배경으로 보는 경우 문제 하단을 드래그 하면 정답을 확인할 수 있습니다. (흰색으로 정답을 적었어요)

 

01 백제는 □□왕 때 마한의 □□□을 병합하고 지역의 맹주로 발돋움하였다.

-> 백제는 고이왕 때 마한의 목지국을 병합하고 지역의 맹주로 발돋움하였다.

02 백제 □□왕은 좌평과 □□□의 기본 골격을 마련하였다.

-> 백제 고이왕은 좌평과 관등제의 기본 골격을 마련하였다.

03 백제 □□□왕은 □□을 정벌하였으며, 고구려의 □□□을 공격하여 고국원왕을 전사시켰다.

-> 백제 근초고왕은 마한을 정벌하였으며, 고구려의 평양성을 공격하여 고국원왕을 전사시켰다.

04 □□□왕 때 만들어져 백제가 □에 전한 것으로 보이는 □□□의 명문을 통해 당시 백제와 왜의 관계를 짐작할 수 있다.

-> 근초고왕 때 만들어져 백제가 왜에 전한 것으로 보이는 칠지도의 명문을 통해 당시 백제와 왜의 관계를 짐작할 수 있다.

05 백제 □□왕은 고구려를 견제하고자 □□에 국서를 보냈다.

-> 백제 개로왕은 고구려를 견제하고자 북위에 국서를 보냈다.

06 고구려의 공격으로 한성이 함락된 후 백제 □□왕은 □□으로 천도하였다.

-> 고구려의 공격으로 한성이 함락된 후 백제 문주왕은 웅진으로 천도하였다.

07 신라의 □□ 마립간과 백제의 □□왕은 동맹을 맺어 고구려의 남진에 대항하였다.

-> 신라의 눌지 마립간과 백제의 비유왕은 동맹을 맺어 고구려의 남진에 대항하였다.

08 백제 □□왕은 □ . □ 동맹을 강화하였다.

-> 백제 동성왕은 나 . 제 동맹을 강화하였다.

09 백제 □□왕은 지방의 □□□에 왕족을 파견하였다.

-> 백제 무령왕은 지방의 22담로에 왕족을 파견하였다.

10 백제 □왕은 중앙 관청을 □□로 정비하였다.

-> 백제 성왕은 중앙 관청을 22부로 정비하였다.

11 백제 □왕은 □□로 천도하고 국호를 □□□로 고쳤다.

-> 백제 성왕은 사비로 천도하고 국호를 남부여로 고쳤다.

12 백제 □왕은 신라의 □□왕과 연합하여 □□ 유역을 일시적으로 장악하였다.

-> 백제 성왕은 신라의 진흥왕과 연합하여 한강 유역을 일시적으로 장악하였다.

13 백제 □왕은 신라와의 □□□ 전투에서 전사하였다.

-> 백제 성왕은 신라와의 관산성 전투에서 전사하였다.

14 백제 □왕은 익산에 □□□를 창건하였다.

-> 백제 무왕은 익상에 미륵사를 창건하였다.

15 백제 □□왕은 신라를 공격하여 □□성을 점령하였다.

-> 백제 의자왕은 신라를 공격하여 대야성을 점령하였다.

16 백제의 □□이 이끄는 결사대가 □□□에서 신라군에 맞서 싸웠다.

-> 백제의 계백이 이끄는 결사대가 황산벌에서 신라군에 맞서 싸웠다.

17 □□과 □□ 등이 부여풍을 왕으로 추대하고 주류성에서 군사를 일으켜 백제 부흥을 꾀하였다.

-> 복신과 도침 등이 부여품을 왕으로 추대하고 주류성에서 군사를 일으켜 백제 부흥을 꾀하였다.

18 백제 부흥군은 □□성에서 소방정이 이끄는 당군을 격퇴하였으며, 왜의 지원군과 함께 □□에서 나 . 당 연합군에 맞서 싸웠다.

-> 백제 부흥군은 임존성에서 소방정이 이끄는 당군을 격퇴하였으며, 왜의 지원군과 함께 백강에서 나 . 당 연합군에 맞서 싸웠다.

19 신라 내물 마립간 이전에는 □ . □ . □씨가 교대로 왕위를 계승하였다.

-> 신라 내물 마립간 이전에는 박 . . 김씨가 교대로 왕위를 계승하였다.

20 신라 □□ 마립간 때 최고 지배자의 칭호가 □□□으로 변경되었다.

-> 신라 내물 마립간 때 최고 지배자의 칭호가 마립간으로 변경되었다.

21 신라 □□왕은 국호를 □□로 확정하고 □이라는 칭호를 사용하였다.

-> 신라 지증왕은 국호를 신라로 확정하고 왕이라는 칭호를 사용하였다.

22 신라 □□왕은 □□을 금지하고 □□을 장려하였으며, 시장을 관리하기 위해 □□□을 설치하였다.

-> 신라 지증왕은 순장을 금지하고 우경을 장려하였으며, 시장을 관리하기 위해 동시전을 설치하였다.

23 신라 □□왕은 □□□를 보내 □□□을 복속하였다.

-> 신라 지증왕은 이사부를 보내 우산국을 복속하였다.

24 신라 □□왕은 □□이라는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였다.

-> 신라 법흥왕은 건원이라는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였다.

25 신라 □□왕은 □□를 설치하여 군사력을 강화하였다.

-> 신라 법흥왕은 병부를 설치하여 군사력을 강화하였다.

26 신라 □□왕은 □□□□를 병합하였으며, 그 일부 왕족은 신라의 진골 귀족으로 편입되었다.

-> 신라 법흥왕은 금관가야를 병합하였으며, 그 일부 왕족은 신라의 진골 귀족으로 편입되었다.

27 신라 □□왕은 □□□를 국가적인 조직으로 개편하고, □□□를 정복하여 영토를 확장하였다.

-> 신라 진흥왕은 화랑도를 국가적인 조직으로 개편하고, 대가야를 정복하여 영토를 확장하였다.

28 신라 □□왕은 □□ □□ 지역을 차지하였다.

-> 신라 진흥왕은 한강 하류 지역을 차지하였다.

29 신라 □□왕은 영토를 확장하고 □□ □□ □□비와 4개의 □□비를 세웠다.

-> 신라 진흥왕은 영토를 확장하고 단양 신라 적성비와 4개의 순수비를 세웠다.

30 □□□는 고구려와의 동맹에 실패하자 당으로 건너가 □□ 동맹을 성사시켰다.

-> 김춘추는 고구려와의 동맹에 실패하자 당으로 건너가 군사 동맹을 성사시켰다.

31 신라는 □□왕 때 당의 군대에 맞서 □□□ . □□□ 전투에서 승리하여 삼국 통일을 이룩하였다.

-> 신라는 문무왕 때 당의 군대에 맞서 매소성 . 기벌포 전투에서 승리하여 삼국 통일을 이룩하였다.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