큰별쌤 최태성의 별★별 한국사 (심화 1-3급 별 채우기) – 07강 고대(경제, 사회)
별별한국사 문제집의 별채우기 부록에서 채워야 할 칸을 더 늘렸어요, 흰색배경으로 보는 경우 문제 하단을 드래그 하면 정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(흰색으로 정답을 적었어요)
01 신라의 관리에게 지급된 □□은 조세 수취와 □□□ 징발이 가능하였다.
-> 신라의 관리에게 지급된 녹음은 조세 수취와 노동력 징발이 가능하였다.
02 신문왕 때 관리에게 □□□이 지급되고 □□이 폐지되었다.
-> 신문왕 때 관리에게 관료전이 지급되고 녹읍이 폐지되었다.
03 신문왕 때 폐지된 □□은 □□왕 때 부활하였다.
-> 신문왕 때 폐지된 녹읍은 경덕왕 때 부활하였다.
04 □□왕은 백성에게 □□을 지급하였다.
-> 성덕왕은 백성에게 정전을 지급하였다.
05 일본 도다이사 쇼소인에서 발견된 신라 촌락 문서(□□ □□)는 서원경 인근 4개 촌의 정보를 담고 있다.
-> 일본 도다이사 쇼소인에서 발견된 신라 촌락 문서(민정 문서)는 서원경 인근 4개 촌의 정보를 담고 있다.
06 신라 지증왕 때 시장을 감독하는 관청인 □□□을 설치하였다.
-> 신라 지증왕 때 시장을 감독하는 관청인 동시전을 설치하였다.
07 신라와 당의 교류가 증가하면서 □□□□ 등지에 신라인의 집단 거주 지역인 □□□이 형성되었다.
-> 신라와 당의 교류가 증가하면서 산둥반도 등지에 신라인의 집단 거주 지역인 신라방이 형성되었다.
08 통일 신라 때 당에 거주하는 신라인을 관리하기 위한 관청인 □□□, 신라인을 위한 사찰인 □□□이 세워졌다.
-> 통일 신라 때 당에 거주하는 신라인을 관리하기 위한 관청이 신라소, 신라인을 위한 사찰인 신라원이 세워졌다.
09 통일 신라 시기에는 수도 근처의 □□□이 국제 무역항으로 번성하여 아라비아 상인도 왕래하였다.
-> 통일 신라 시기에는 수도 근처의 울산항이 국제 무역항으로 번성하여 아라비아 상인도 왕래하였다.
10 장보고는 □□에 □□□을 설치하여 해상 무역을 전개하였다.
-> 장보고는 완도에 청해진을 설치하여 해상 무역을 전개하였다.
11 장보고는 당에 신라 사찰인 □□□을 설립하였다.
-> 장보고는 당에 신라 사찰인 법화원을 설립하였다.
12 당의 □□□□에는 발해의 사신들이 머무는 □□□이 설치되었다.
-> 당의 산둥반도에는 발해의 사신들이 머무는 발해관이 설치되었다.
13 발해는 모피, 인삼, 자기, 담비, 가죽 등을 수출하였는데, 특히 솔빈부의 □이 특산물로 유명하였다.
-> 발해는 모피, 인삼, 자기, 담비, 가죽 등을 수출하였는데, 특히 솔빈부의 말이 특산물로 유명하였다.
14 발해는 □□□라는 상설 교통로를 두어 신라와 왕래하였다.
-> 발해는 신라도라는 상설 교통로를 두어 신라와 왕래하였다.
15 □□□은 백제의 귀족 회의로 국가의 중대사를 결정하였다.
-> 정사암은 백제의 귀족 회의로 국가의 중대사를 결정하였다.
16 신라의 □□ □□는 귀족들로 구성되어 □□□□□로 운영되었다.
-> 신라의 화백 회의는 귀족들로 구성되어 만장일치제로 운영되었다.
17 백제는 왕족인 □□씨를 비롯한 8성의 귀족이 지배층을 이루었다.
-> 백제는 왕족인 부여씨를 비롯한 8성의 귀족이 지배층을 이루었다.
18 신라의 □□□는 개인의 정치 활동뿐만 아니라 일상생활까지 규제한 폐쇄적인 신분제이다.
-> 신라의 골품제는 개인의 정치 활동뿐만 아니라 일상생활까지 규제한 폐쇄적인 신분제이다.
19 □□왕 때 국가적인 조직으로 정비된 신라의 □□□는 계층 간의 갈등을 완화하는 역할을 하였다.
-> 진흥왕 때 국가적인 조직으로 정비된 신라의 화랑도는 계층 간의 갈등을 완화하는 역할을 하였다.
20 신라의 □□□는 원광의 □□ □□를 행동 규범으로 삼았다.
-> 신라의 화랑도는 원광의 세속 5계를 행동 규범으로 삼았다.
21 □□□은 신라 6두품 출신의 도당 유학생으로, 귀국하여 사회를 개혁하고자 하였다.
-> 최치원은 신라 6두품 출신의 도당 유학생으로, 귀국하여 사회를 개혁하고자 하였다.
22 □□□은 당에서 돌아와 진성 여왕에게 □□ □□ 조를 건의하였다.
-> 최치원은 당에서 돌아와 진성 여왕에게 시무 10여 조를 건의하였다.
23 신라 말에는 진골 귀족 간의 왕위 다툼으로 인해 사회가 혼란하여 지방에서 □□ 세력이 성장하였다.
-> 신라 말에는 진골 귀족 간의 왕위 다툼으로 인해 사회가 혼란하여 지방에서 호족 세력이 성장하였다.
24 신라 말기 □□□은 □□과 연계하여 사회 개혁을 추구하기도 하였다.
-> 신라 말기 6두품은 호족과 연계하여 사회 개혁을 추구하기도 하였다.
'한국사 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큰별쌤 최태성의 별★별 한국사 (심화 1-3급 별 채우기) – 09강 고대(문화2) (0) | 2022.01.16 |
---|---|
큰별쌤 최태성의 별★별 한국사 (심화 1-3급 별 채우기) – 08강 고대(문화1) (0) | 2022.01.08 |
큰별쌤 최태성의 별★별 한국사 (심화 1-3급 별 채우기) – 06강 고대(통일 신라, 발해) (0) | 2022.01.06 |
큰별쌤 최태성의 별★별 한국사 (심화 1-3급 별 채우기) – 05강 고대(백제, 신라) (0) | 2022.01.06 |
큰별쌤 최태성의 별★별 한국사 (심화 1-3급 별 채우기) – 04강 고대(고구려, 가야) (0) | 2022.01.05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