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큰별쌤 최태성의 별★별 한국사 (심화 1-3급 별 채우기) - 02강 선사시대

반지하닭발마녀 2022. 1. 5.
반응형

별별한국사 문제집의 별채우기 부록에서 채워야 할 칸을 더 늘렸어요,

흰색배경으로 보는 경우 문제 하단을 드래그 하면 정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 

01 구석기 시대에는 주로 □□이나 강가의 □□에서 살았다.

-> 구석기 시대에는 주로 동굴이나 강가의 막집에서 살았다. 

02 구석기 시대에는 주로 □□과 □□을 하였다.

-> 구석기 시대에는 주로 사냥과 채집을 하였다.

03 구석기 시대의 대표적인 유적으로 연천 □□□ 유적, 공주 □□□ 유적 등이 있다.

-> 구석기 시대의 대표적인 유적으로 연천 전곡리 유적, 공주 석장리 유적 등이 있다. 

04 구석기 시대에는 대표적인 도구로 □□□□, □□ 등을 제작하였다.

-> 구석기 시대에는 대표적인 도구로 주먹도끼, 찍개 등을 제작하였다.

05 구석기 시대에는 사냥을 위해 □□□□□를 처음 제작 하였다.

-> 구석기 시대에는 사냥을 위해 슴베찌르개를 처음 제작 하였다.

06 신석기 시대에는 □□과 □□을 시작하여 식량을 생산하였다.

-> 신석기 시대에는 농경과 목축을 시작하여 식량을 생산하였다.

07 신석기 시대에는 □□□□와 □□□을 이용하여 옷을 만들었다. 

-> 신석기 시대에는 가락바퀴와 뼈바늘을 이용하여 옷을 만들었다. 

08 신석기 시대에 □□ 생활이 시작되면서 □□이 등장하였다.

-> 신석기 시대에 정착 생활이 시작되면서 움집이 등장하였다. 

09 봉산 지탑리 유적, 서울 □□□ 유적, 양양 오산리 유적, 부산 □□□ 유적, 제주 □□□ 유적은 대표적인 신석기 시대 유적이다.

-> 봉산 지탑리 유적, 서울 암사동 유적, 양양 오산리 유적, 부산 동삼동 유적, 제조 고산리 유적은 대표적인 신석기 시대 유적이다.

10 신석기 시대의 대표적인 간석기인 □□과 □□은 씨앗이나 열매의 껍질을 벗기거나 가루를 내는 데 사용되었다.

-> 신석기 시대의 대표적인 간석기인 갈돌과 갈판은 씨앗이나 열매의 껍질을 벗기거나 가루를 내는 데 사용되었다.

11 신석기인들은 □□□□ 토기를 만들어 식량을 저장하였다.

-> 신석기인들은 빗살무늬 토기를 만들어 식량을 저장하였다. 

12 신석기 시대에는 □□□□, □□□□, □□□□, 영혼 숭배와 같은 원시 신앙이 등장하였다.

-> 신서기 시대에는 애니미즘, 토테미즘, 샤머니즘, 영혼 숭배와 같은 원시 신앙이 등장하였다. 

13 구석기 시대와 신석기 시대에는 계급이 없는 □□한 공동체 생활을 하였다. 

-> 구석기 시대와 신석기 시대에는 계급이 없는 평등한 공동체 생활을 하였다. 

14 청동기 시대에는 □□ □□과 □□이 발생하였다.

-> 청동기 시대에는 사유 재산과 계급이 발생하였다. 

15 청동기 시대에는 권력을 가진 □□이 등장하였다.

-> 청동기 시대에는 권력을 가진 군장이 등장하였다.

16 청동기 시대에는 □□ □□을 이용하여 곡물을 수확하였다. 

-> 청동기 시대에는 반달 돌칼을 이용하여 곡물을 수확하였다.

17 청동기 시대의 대표적인 토기로 □□□□ 토기가 있다. 

-> 청동기 시대의 대표적인 토기로 미송리식 토기가 있다. 

18 청동기 시대에는 지배자의 무덤으로 많은 인력을 동원하여 □□□을 축조하였다.

-> 청동기 시대에는 지배자의 무덤으로 많은 인력을 동원하여 고인돌을 축조하였다. 

19 청동기 시대에는 거푸집을 이용하여 □□□ □□을 제작하였다.

-> 청동기 시대에는 거푸집을 이용하여 비파형 동검을 제작하였다. 

20 청동기 시대의 대표적인 유적으로 부여 □□□ 유적, 여주 □□□ 유적 등이 있다.

-> 청동기 시대의 대표적인 유적으로 부여 송국리 유적, 여주 흔암리 유적 등이 있다. 

21 철기 시대에 □무덤과 □무덤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. 

-> 철기 시대에 널무덤과 독무덤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.

22 철기 시대에는 거푸집을 사용하여 □□ □□을 제작하였다.

-> 철기 시대에는 거푸집을 사용하여 세형 동검을 제작하였다. 

23 철기 시대에는 쟁기, 쇠스랑 등의 □□ □□□를 사용하여 농사를 지었다. 

-> 철기 시대에는 쟁기, 쇠스랑 등의 철제 농기구를 사용하여 농사를 지었다.

24 철기 시대에는 □□□, 반량전, 오수전, 화천 등의 중국 화폐를 사용하였다. 

-> 철기 시대에는 명도전, 반량전, 오수전, 화천 등의 중국 화폐를 사용하였다.

25 경남 창원 □□□ 유적에서 나온 □을 통해 철기 시대에 중국으로부터 한자가 전래되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.

-> 경남 창원 다호리 유적에서 나온 붓을 통해 철기 시대에 중국으로부터 한자가 전래되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.

 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