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큰별쌤 최태성의 별★별 한국사 (심화 1-3급 별 채우기) – 03강 여러 나라의 성장

반지하닭발마녀 2022. 1. 5.
반응형

별별한국사 문제집의 별채우기 부록에서 채워야 할 칸을 더 늘렸어요,

흰색배경으로 보는 경우 문제 하단을 드래그 하면 정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(흰색으로 정답을 적었어요)

 

01 □□, □의 출토 지역을 통해 고조선의 문화 범위를 알 수 있다.

-> 비파형 동검, 탁자식 고인돌의 출토 지역을 통해 고조선의 문화 범위를 알 수 있다.

02 고조선에는 사회 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□가 있었다.

-> 고조선에는 사회 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범금 8조가 있었다.

03 기원전 4-3세기경 고조선은 전국 7웅 중 하나인 □과 대적할 만큼 성장하였다.

-> 기원전 4-3세기경 고조선은 전국 7웅 중 하나인 연과 대적할 만큼 성장하였다.

04 기원전 3세기경 고조선에는 부왕 등 강력한 왕이 등장하여 □를 □하였다. 

-> 기원전 3세기경 고조선에는 부왕 등 강력한 왕이 등장하여 왕위를 세습하였다. 

05 고조선은 왕 아래 □, □, □ 등의 관직을 두었다.

-> 고조선은 왕 아래 상, 대부, 장군 등의 관직을 두었다.

06 기원전 3세기 초 고조선은 □의 장수 □의 공격을 받아 땅을 빼앗겼다.

-> 기원전 3세기 초 고조선은 연의 장소 진개의 공격을 받아 땅을 째앗겼다.

07 □은 진 . 한 교체기에 무리를 이끌고 고조선에 들어와 준왕을 몰아내고 왕이 되었다.

-> 위만은 진 . 한 교체기에 무리를 이끌고 고조선에 들어와 준왕을 몰아내고 왕이 되었다. 

08 위만 집권 이후 고조선은 중국의 한과 한반도 남부 진국 사이에서 을 통해 많은 이익을 얻었다.

-> 위만 집권 이후 고조선은 중국의 한과 한반도 남부 진국 사이에서 중계 무역을 통해 많은 이익을 얻었다.

09 위만 집권 이후 고조선은 □과 □을 복속시켜 세력을 확장하였다. 

-> 위만 집권 이후 고조선은 진번과 임둔을 복속시켜 세력을 확장하였다.

10 조선상 □은 자신의 건의를 우거왕이 받아들이지 않자 무리를 이끌고 □으로 남하하였다.

-> 조선상 역계경은 자신의 건의를 우거왕이 받아들이지 않자 무리를 이끌고 진국으로 남하하였다. 

11 우거왕 때 □의 공격으로 □이 함락되었다.

-> 우거왕 때 한 무제의 공격으로 왕검성이 함락되었다. 

12 부여에서는 여러 가(加)들이 별도로 □를 주관하였다.

-> 부여에서는 여러 가(加)들이 별도로 사출도를 주관하였다.

13 부여는 12월에 □라는 제천 행사를 열었다.

-> 부여는 12월에 영고라는 제천 행사를 열었다. 

14 부여와 고구려에서는 남의 물건을 훔쳤을 때 로 갚게 하였다. 

-> 부여와 고구려에서는 남의 물건을 훔쳤을 때 12배로 갚게 하였다.

15 고구려는 □에서 나라의 중요한 일을 결정하였다.

-> 고구려는 제가 회의에서 나라의 중요한 일을 결정하였다.

16 고구려에는 왕 아래 상가, 고추가 등의 □들이 있었으며, 이들은 □, □등을 거느렸다.

-> 고구려에는 왕 아래 상가, 고추가 등의 대가들이 있었으며, 이들은 사자, 조의등을 거느렸다.

17 고구려는 10월에 □이라는 제천 행사를 열었다.

-> 고구려는 10월에 동맹이라는 제천 행사를 열었다. 

18 고구려에는 혼인 풍습으로 □가 있었다. 

-> 고구려에는 혼인 풍습으로 서옥제가 있었다.

19 옥저의 혼인 풍습으로 □가 있었다.

-> 옥저의 혼인 풍습으로 민며느리제가 있었다.

20 고구려에 예속되었던 □는 소금, 어물 등 □이 풍부하여 이를 고구려에 바쳤다.

-> 고구려에 예속되었던 옥저는 소금, 어물 등 해산물이 풍부하여 이를 고구려에 바쳤다. 

21 동예의 특산물에는 □, □, □ 등이 있다.

-> 동예의 특산물에는 단궁, 과하마, 반어피 등이 있다. 

22 동예는 10월에 □이라는 제천 행사를 열었다.

-> 동예는 10월에 무천이라는 제천 행사를 열었다.

23 옥저와 동예에는 □, □라고 불리는 군장이 있었다.

-> 옥저와 동예에는 읍군, 삼로라고 불리는 군장이 있었다.

24 동예에는 읍락 간의 경계를 중시하는 □라는 풍습이 있었다. 

-> 동예에는 읍락 간의 경계를 중시하는 책화라는 풍습이 있었다. 

25 삼한에는 □, □등의 지배자가 있었다.

-> 삼한에는 신지, 읍차등의 지배자가 있었다. 

26 삼한에는 제사장인 □과 신성 지역인 □가 존재하였다.

-> 삼한에는 제사장인 천군과 신성 지역인 소도가 존재하였다. 

27 변한에서는 □이 많이 생산되어 □과 □에 수출하였다.

-> 변한에서는 철이 많이 생산되어 낙랑과 왜에 수출하였다.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