큰별쌤 최태성의 별★별 한국사 (심화 1-3급 별 채우기) – 12강 고려(외교)
별별한국사 문제집의 별채우기 부록에서 채워야 할 칸을 더 늘렸어요, 흰색배경으로 보는 경우 문제 하단을 드래그 하면 정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(흰색으로 정답을 적었어요)
01 정종은 거란의 침입에 대비하기 위하여 □□을 창설하였다.
-> 정종은 거란의 침입에 대비하기 위하여 광군을 창설하였다.
02 거란의 1차 침입 때 □□가 소손녕을 상대로 외교 담판을 벌여 □□ □□를 획득하였다.
-> 거란의 1차 침입 때 서희가 소손녕을 상대로 외교 담판을 벌여 강동 6주를 획득하였다.
03 목종 때 □□가 □□을 일으켜 김치양 일파를 제거하고 목종을 폐위하였다.
-> 목종 때 강조가 정변을 일으켜 김치양 일파를 제거하고 목종을 폐위하였다.
04 □□의 □□을 구실로 □□□이 침략하여 개경이 함락되자 현종이 나주로 피난하였다.
-> 강조의 정변을 구실로 거란군이 침략하여 개경이 함락되자 현종이 나주로 피난하였다.
05 거란의 2차 침입 때 □□의 활약으로 포로로 잡혀가는 많은 고려인을 구하였다.
-> 거란의 2차 침입 때 양규의 활약으로 포로로 잡혀가는 많은 고려인을 구하였다.
06 □□□은 강동 6주의 반환 등을 요구하며 침략한 □□□을 □□에서 크게 격퇴하였다.
-> 강감찬은 강동 6주의 반환 등을 요구하며 침략한 거란군을 귀주에서 크게 격퇴하였다.
07 고려는 부처의 힘으로 거란의 침입을 막고자 □□□□□을 만들었다.
-> 고려는 부처의 힘으로 거란의 침입을 막고자 초조대장경을 만들었다.
08 고려는 □□과 □□의 침입에 대비하여 개경에 □□을 쌓고, 국경 지역에 □□□□을 축조하였다.
-> 고려는 거란과 여진의 침입에 대비하여 개경에 나성을 쌓고, 국경 지역에 천리장성을 축조하였다.
09 □□의 건의를 받아들여 신기군, 신보군, 항마군으로 구성된 □□□을 조직하였다.
-> 윤관의 건의를 받아들여 신기군, 신보군, 항마군으로 구성된 별무반을 조직하였다.
10 □□은 □□□을 이끌고 여진을 정벌하여 □□ □□을 확보하였다.
-> 윤관은 별무반을 이끌고 여진을 정벌하여 동북 9성을 확보하였다.
11 무신 집권기 □□의 침입으로 □□□□□과 □□□ □□ □□이 소실되었다.
-> 무신 집권기 몽골의 침입으로 초조대장경과 황룡사 9층 목탑이 소실되었다.
12 최씨 무신 정권은 □□이 침입해 오자 □□□로 도읍을 옮겨 장기 항전에 대비하였다.
-> 최씨 무신 정권은 몽골이 침입해 오자 강화도로 도읍을 옮겨 장기 항전에 대비하였다.
13 몽골의 침입 때 □□□가 처인성에서 몽골의 장수 □□□를 사살하였다.
-> 몽골의 침입 때 김윤후가 처인성에서 몽골의 장수 살리타를 사살하였다.
14 배중손이 이끄는 □□□는 고려 정부의 개경 환도에 반대하여 □□ □□을 이어갔다.
-> 배중손이 이끄는 삼별초는 고려 정부의 개경 환도에 반대하여 대몽 항쟁을 이어갔다.
15 □□□는 강화도에서 □□, 다시 □□□로 근거지를 옮겨 가며 대몽 항쟁을 펼쳤다.
-> 삼별초는 강화도에서 진도, 다시 제주도로 근거지를 옮겨 가며 대몽 항쟁을 펼쳤다.
16 고려는 부처의 힘으로 몽골의 침입을 막고자 □□□□□을 만들었다.
-> 고려는 부처의 힘으로 몽골의 침입을 막고자 팔만대장경을 만들었다.
17 원이 설치한 □□□□은 일본 원정 실패 이후 고려의 내정 간섭에 이용되었다.
-> 원이 설치한 정동행성은 일본 원정 실패 이후 고려의 내정 간섭에 이용되었다.
18 원 간섭기에 고려의 중서문하성과 상서성은 □□□, 6부는 □□, 중추원은 □□□로 격하되었다.
-> 원 간섭기에 고려의 중서문하성과 상서성은 첨의부, 6부는 4사, 중추원은 밀직사로 격하되었다.
19 원 간섭기에 □□□□은 최고 의결 기관인 □□□□□를 장악하여 권력을 유지하였다.
-> 원 간섭기에 권문세족은 최고 의결 기관인 도평의사사를 장악하여 권력을 유지하였다.
20 원 간섭기에 지배층을 중심으로 □□과 □□ 등 몽골풍이 유행하였다.
-> 원 간섭기에 지배층을 중심으로 변발과 호복 등 몽골풍이 유행하였다.
21 원 간섭기에 □□도감을 통해 □□가 징발되었다.
-> 원 간섭기에 결혼도감을 통해 공녀가 징발되었다.
22 공민왕은 인사 행정을 담당하던 □□을 혁파하였다.
-> 공민왕은 인사 행정을 담당하던 정방을 혁파하였다.
23 공민왕은 기철을 비롯한 □□ 세력을 숙청하고, 변발 등 □□□을 금지하였다.
-> 공민왕은 기철을 비롯한 친원 세력을 숙청하고, 변발 등 몽골풍을 금지하였다.
24 공민왕은 격하된 관제를 복구하고 권문세족을 견제하기 위해 신돈을 등용하여 □□□□□□을 설치하였다.
-> 공민왕은 격하된 관제를 복구하고 권문세족을 견제하기 위해 신돈을 등용하여 전민변정도감을 설치하였다.
25 공민왕은 고려의 내정을 간섭하던 □□□□ □□□를 폐지하였다.
-> 공민왕은 고려의 내정의 간섭하던 정동행성 이문소를 폐지하였다.
26 공민왕은 □□□□□를 공격하여 철령 이북의 땅을 회복하였다.
-> 공민왕은 쌍성총관부를 공격하여 철령 이북의 땅을 회복하였다.
27 □□□의 침략으로 공민왕이 안동으로 피난하였는데, 고려군은 개경까지 침입한 □□□을 몰아냈다.
-> 홍건적의 침략으로 공민왕이 안동으로 피난하였는데, 고려군은 개경까지 침입한 홍건적을 몰아냈다.
28 □□□는 내륙까지 쳐들어와 약탈하던 □□를 □□에서 무찔렀다.
-> 이성계는 내륙까지 쳐들어와 약탈하던 왜구를 황산에서 무찔렀다.
29 명이 철령 이북의 땅을 직속령으로 삼으려고 하자 우왕과 □□은 □□ 정벌을 위해 이성계에게 출병을 명령하였다.
-> 명이 철령 이북의 땅을 직속령으로 삼으려고 하자 우왕과 최영은 요동 정벌을 위해 이성계에게 출병을 명령하였다.
30 이성계는 □□□□을 내세우며 요동 출병에 반대하였다.
-> 이성계는 4불가론을 내세우며 요동 출병에 반대하였다.
31 □□□ □□으로 정권을 장악한 이성계와 급진 개혁파 신진 사대부는 □□□을 공포하여 전제를 개혁하였다.
-> 위화도 회군으로 정권을 장악한 이성계와 급진 개혁파 신진 사대부는 과전법을 공포하여 전제를 개혁하였다.
'한국사 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큰별쌤 최태성의 별★별 한국사 (심화 1-3급 별 채우기) – 14강 고려(문화1) (0) | 2022.01.16 |
---|---|
큰별쌤 최태성의 별★별 한국사 (심화 1-3급 별 채우기) – 13강 고려(경제, 사회) (0) | 2022.01.16 |
큰별쌤 최태성의 별★별 한국사 (심화 1-3급 별 채우기) – 11강 고려(중기 정치-무신 정변) (0) | 2022.01.16 |
큰별쌤 최태성의 별★별 한국사 (심화 1-3급 별 채우기) – 10강 고려(초기 정치) (0) | 2022.01.16 |
큰별쌤 최태성의 별★별 한국사 (심화 1-3급 별 채우기) – 09강 고대(문화2) (0) | 2022.01.16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