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 한국사능력검정시험10 큰별쌤 최태성의 별★별 한국사 (심화 1-3급 별 채우기) – 12강 고려(외교) 별별한국사 문제집의 별채우기 부록에서 채워야 할 칸을 더 늘렸어요, 흰색배경으로 보는 경우 문제 하단을 드래그 하면 정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(흰색으로 정답을 적었어요) 01 정종은 거란의 침입에 대비하기 위하여 □□을 창설하였다. -> 정종은 거란의 침입에 대비하기 위하여 광군을 창설하였다. 02 거란의 1차 침입 때 □□가 소손녕을 상대로 외교 담판을 벌여 □□ □□를 획득하였다. -> 거란의 1차 침입 때 서희가 소손녕을 상대로 외교 담판을 벌여 강동 6주를 획득하였다. 03 목종 때 □□가 □□을 일으켜 김치양 일파를 제거하고 목종을 폐위하였다. -> 목종 때 강조가 정변을 일으켜 김치양 일파를 제거하고 목종을 폐위하였다. 04 □□의 □□을 구실로 □□□이 침략하여 개경이 함락되자 현종이 나.. 한국사 공부 2022. 1. 16. 더보기 ›› 큰별쌤 최태성의 별★별 한국사 (심화 1-3급 별 채우기) – 11강 고려(중기 정치-무신 정변) 별별한국사 문제집의 별채우기 부록에서 채워야 할 칸을 더 늘렸어요, 흰색배경으로 보는 경우 문제 하단을 드래그 하면 정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(흰색으로 정답을 적었어요) 01 □□와 □□□은 고려 문벌 귀족들의 정치적 . 경제적 기반이 되었다. -> 음서와 공음전은 고려 문벌 귀족들의 정치적 . 경제적 기반이 되었다. 02 인종 때 권력을 독점한 왕실의 외척 □□□이 척준경과 함께 난을 일으켰다. -> 인종 때 권력을 독점한 왕실의 외척 이자겸이 척준경과 함께 난을 일으켰다. 03 □□은 풍수지리설을 내세워 □□ 천도를 주장하였다. -> 묘청은 풍수지리설을 내세워 서경 천도를 주장하였다. 04 □□등 서경파는 고구려 계승 의식이 있었으며, □□□□과 □□ □□을 주장하였다. -> 묘청등 서경파는 고구.. 한국사 공부 2022. 1. 16. 더보기 ›› 큰별쌤 최태성의 별★별 한국사 (심화 1-3급 별 채우기) – 10강 고려(초기 정치) 별별한국사 문제집의 별채우기 부록에서 채워야 할 칸을 더 늘렸어요, 흰색배경으로 보는 경우 문제 하단을 드래그 하면 정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(흰색으로 정답을 적었어요) 01 고려의 건국 세력 가운데 중앙에 진출한 이들은 대대로 고위 관직을 독점하며 □□□□이 되었다. -> 고려의 건국 세력 가운데 중앙에 진출한 이들은 대대로 고위 관직을 독점하며 문벌귀족이 되었다. 02 고려 말 원 간섭기 □□□□은 원의 세력을 배경으로 권세를 누리며 □□□을 소유하였다. -> 고려 말 원 간섭기 권문세족은 원의 세력을 배경으로 권세를 누리며 대농장을 소유하였다. 03 후백제 □□의 군대는 □□□ 전투에서 왕건의 고려군에게 패배하였다. -> 후백제 신검의 군대는 일천리 전투에서 왕건의 고려군에게 패배하였다. 04 .. 한국사 공부 2022. 1. 16. 더보기 ›› 큰별쌤 최태성의 별★별 한국사 (심화 1-3급 별 채우기) – 09강 고대(문화2) 별별한국사 문제집의 별채우기 부록에서 채워야 할 칸을 더 늘렸어요, 흰색배경으로 보는 경우 문제 하단을 드래그 하면 정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(흰색으로 정답을 적었어요) 01 고구려의 □□□는 조선 태조 때 만들어진 천상열차분야지도에 영향을 주었다. -> 고구려의 천문도는 조선 태조 때 만들어진 천상열차분야지도에 영향을 주었다. 02 금동 □□□와 □□□는 백제의 수준 높은 공예 기술을 보여준다. -> 금동 대향로와 칠지도는 백제의 수준 높은 공예 기술을 보여준다. 03 신라는 선덕 여왕 때 천문 관측을 위해 □□□를 세웠다. -> 신라는 선덕 여왕 때 천문 관측을 위해 첨성대를 세웠다. 04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범종은 통일 신라 성덕왕 때 만들어진 □□□ □□이다. ->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.. 한국사 공부 2022. 1. 16. 더보기 ›› 큰별쌤 최태성의 별★별 한국사 (심화 1-3급 별 채우기) - 02강 선사시대 별별한국사 문제집의 별채우기 부록에서 채워야 할 칸을 더 늘렸어요, 흰색배경으로 보는 경우 문제 하단을 드래그 하면 정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01 구석기 시대에는 주로 □□이나 강가의 □□에서 살았다. -> 구석기 시대에는 주로 동굴이나 강가의 막집에서 살았다. 02 구석기 시대에는 주로 □□과 □□을 하였다. -> 구석기 시대에는 주로 사냥과 채집을 하였다. 03 구석기 시대의 대표적인 유적으로 연천 □□□ 유적, 공주 □□□ 유적 등이 있다. -> 구석기 시대의 대표적인 유적으로 연천 전곡리 유적, 공주 석장리 유적 등이 있다. 04 구석기 시대에는 대표적인 도구로 □□□□, □□ 등을 제작하였다. -> 구석기 시대에는 대표적인 도구로 주먹도끼, 찍개 등을 제작하였다. 05 구석기 시대에는 사냥을.. 한국사 공부 2022. 1. 5. 더보기 ›› 반응형 이전 1 2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