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반응형

한국사 심화7

큰별쌤 최태성의 별★별 한국사 (심화 1-3급 별 채우기) – 15강 고려(문화2) 별별한국사 문제집의 별채우기 부록에서 채워야 할 칸을 더 늘렸어요, 흰색배경으로 보는 경우 문제 하단을 드래그 하면 정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(흰색으로 정답을 적었어요) 01 고려 초기의 대표적인 철불로 하남 □□□□ □□ □□□□ □□이 있다. -> 고려 초기의 대표적인 철불로 하남 하사창동 철조 석가여래 좌상이 있다. 02 고려 초기에는 □□의 영향으로 각지에서 지방색이 강한 개성 있는 □□ □□들이 제작되었다. -> 고려 초기에는 호족의 영향으로 각지에서 지방색이 강한 개성 있는 거대 불상들이 제작되었다. 03 고려 초기의 대표적인 거대 불상으로 논산 □□□ □□ □□□□ □□, 안동 □□□ □□ □□ □□ 등을 들 수 있다. -> 고려 초기의 대표적인 거대 불상으로 논산 관촉사 석조 미륵보살 .. 한국사 공부 2022. 1. 16.
큰별쌤 최태성의 별★별 한국사 (심화 1-3급 별 채우기) – 14강 고려(문화1) 별별한국사 문제집의 별채우기 부록에서 채워야 할 칸을 더 늘렸어요, 흰색배경으로 보는 경우 문제 하단을 드래그 하면 정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(흰색으로 정답을 적었어요) 01 고려 시대에는 유학 교육을 진흥하기 위해 중앙에는 □□□, 지방에는 □□를 설립하였다. -> 고려 시대에는 유학 교육을 진흥하기 위해 중앙에는 국자감, 지방에는 향교를 설립하였다. 02 □□□에는 유학부 외에 율학 . 서학 . 산학 등의 기술학부가 있었다. -> 국자감에는 유학부 외에 율학 . 서학 . 산학 등의 기술학부가 있었다. 03 고려의 과거는 문관을 뽑는 □□□와 □□□, 기술관을 뽑는 □□, 승려를 대상으로 하는 □□가 있었다. -> 고려의 과거는 문관을 뽑은 명경과와 제술과, 기술관을 뽑은 잡과, 승려를 대상으로 하.. 한국사 공부 2022. 1. 16.
큰별쌤 최태성의 별★별 한국사 (심화 1-3급 별 채우기) – 13강 고려(경제, 사회) 별별한국사 문제집의 별채우기 부록에서 채워야 할 칸을 더 늘렸어요, 흰색배경으로 보는 경우 문제 하단을 드래그 하면 정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(흰색으로 정답을 적었어요) 01 고려 건국 후 태조는 개국 공신에게 공로와 인품에 따라 □□□을 차등 지급하였다. -> 고려 건국 후 태조는 개국 공신에게 공로와 인품에 따라 역분전을 차등 지급하였다. 02 고려 시대에는 관리에게 직역의 대가로 전지와 시지를 지급하는 □□□를 실시하였다. -> 고려 시대에는 관리에게 직역의 대가로 전지와 시지를 지급하는 전시과를 실시하였다. 03 경종 때 마련된 □□ □□□에서는 전 . 현직 관리에게 관리의 인품과 공복을 기준으로 하여 토지를 지급하였다. -> 경종 때 마련된 시정 전시과에서는 전 . 현직 관리에게 관리의 인품.. 한국사 공부 2022. 1. 16.
큰별쌤 최태성의 별★별 한국사 (심화 1-3급 별 채우기) – 12강 고려(외교) 별별한국사 문제집의 별채우기 부록에서 채워야 할 칸을 더 늘렸어요, 흰색배경으로 보는 경우 문제 하단을 드래그 하면 정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(흰색으로 정답을 적었어요) 01 정종은 거란의 침입에 대비하기 위하여 □□을 창설하였다. -> 정종은 거란의 침입에 대비하기 위하여 광군을 창설하였다. 02 거란의 1차 침입 때 □□가 소손녕을 상대로 외교 담판을 벌여 □□ □□를 획득하였다. -> 거란의 1차 침입 때 서희가 소손녕을 상대로 외교 담판을 벌여 강동 6주를 획득하였다. 03 목종 때 □□가 □□을 일으켜 김치양 일파를 제거하고 목종을 폐위하였다. -> 목종 때 강조가 정변을 일으켜 김치양 일파를 제거하고 목종을 폐위하였다. 04 □□의 □□을 구실로 □□□이 침략하여 개경이 함락되자 현종이 나.. 한국사 공부 2022. 1. 16.
큰별쌤 최태성의 별★별 한국사 (심화 1-3급 별 채우기) – 11강 고려(중기 정치-무신 정변) 별별한국사 문제집의 별채우기 부록에서 채워야 할 칸을 더 늘렸어요, 흰색배경으로 보는 경우 문제 하단을 드래그 하면 정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(흰색으로 정답을 적었어요) 01 □□와 □□□은 고려 문벌 귀족들의 정치적 . 경제적 기반이 되었다. -> 음서와 공음전은 고려 문벌 귀족들의 정치적 . 경제적 기반이 되었다. 02 인종 때 권력을 독점한 왕실의 외척 □□□이 척준경과 함께 난을 일으켰다. -> 인종 때 권력을 독점한 왕실의 외척 이자겸이 척준경과 함께 난을 일으켰다. 03 □□은 풍수지리설을 내세워 □□ 천도를 주장하였다. -> 묘청은 풍수지리설을 내세워 서경 천도를 주장하였다. 04 □□등 서경파는 고구려 계승 의식이 있었으며, □□□□과 □□ □□을 주장하였다. -> 묘청등 서경파는 고구.. 한국사 공부 2022. 1. 16.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