큰별쌤 최태성의 별★별 한국사 (심화 1-3급 별 채우기) – 15강 고려(문화2)
별별한국사 문제집의 별채우기 부록에서 채워야 할 칸을 더 늘렸어요, 흰색배경으로 보는 경우 문제 하단을 드래그 하면 정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(흰색으로 정답을 적었어요)
01 고려 초기의 대표적인 철불로 하남 □□□□ □□ □□□□ □□이 있다.
-> 고려 초기의 대표적인 철불로 하남 하사창동 철조 석가여래 좌상이 있다.
02 고려 초기에는 □□의 영향으로 각지에서 지방색이 강한 개성 있는 □□ □□들이 제작되었다.
-> 고려 초기에는 호족의 영향으로 각지에서 지방색이 강한 개성 있는 거대 불상들이 제작되었다.
03 고려 초기의 대표적인 거대 불상으로 논산 □□□ □□ □□□□ □□, 안동 □□□ □□ □□ □□ 등을 들 수 있다.
-> 고려 초기의 대표적인 거대 불상으로 논산 관촉사 석조 미륵보살 입상, 안동 이천동 마애 여래 입상 등을 들 수 있다.
04 영주 □□□ □□ □□ □□은 신라 양식을 계승한 고려의 불상이다.
-> 영주 부석사 소조 여래 좌상은 신라 양식을 계승한 고려의 불상이다.
05 고려 후기에는 □□□□□□, □□□□□ 등의 불화가 많이 그려졌다.
-> 고려 후기에는 아미타래영도, 수월관음도 등의 불화가 많이 그려졌다.
06 원의 영향을 받은 수렵도인 □□□□□는 공민왕이 그렸다고 전해진다.
-> 원의 영향을 받은 수렵도인 천산대렵도는 공민왕이 그렸다고 전해졌다.
07 고려 전기에는 □□ □□탑이 많이 만들어졌는데, 대표적으로 평창 □□□ □□ □□ □□을 들 수 있다.
-> 고려 전기에는 다각 다층탑이 많이 만들어졌는데, 대표적으로 평창 월정사 8각 9층 석탑을 들 수 있다.
08 고려 후기에 개성 □□□□ □□ □□은 원의 영향을 받아 대리석으로 만들어졌다.
-> 고려 후기에 개성 경천사지 10층 석탑은 원의 영향을 받아 대리석으로 만들어졌다.
09 개성 □□□□ □□ □□은 조선 시대 서울 □□□□ □□ □□에 영향을 주었으며, 현재 국립 중앙 박물관에 있다.
-> 개성 경천사지 10층 석탑은 조선 시대 서울 원각사지 10층 석탑에 영향을 주었으며, 현재 국립 중앙 박물관에 있다.
10 고려 시대에는 청자가 발달하였는데, 고려 전기에는 무늬가 없는 □□□, 후기에는 독창적 기법의 □□ □□가 많이 제작되었다.
-> 고려 시대에는 청자가 발달하였는데, 고려 전기에는 무늬가 없는 순청자, 후기에는 독창적 기법의 상감 청자가 많이 제작되었다.
11 고려 시대 금속 공예에서는 금속 그릇 표면에 무늬를 새기고 은실을 채워 넣어 장식하는 □□□ □□이 발달하였다.
-> 고려 시대 금속 공예에서는 금속 그릇 표면에 무늬를 새기고 은실을 채워 넣어 장식하는 은입사 기술이 발달하였다.
12 고려 시대에는 조개껍질을 얇게 간 자개를 옻칠한 나무에 붙여 장식하는 □□ □□가 많이 만들어졌다.
-> 고려 시대에는 조개껍질을 얇게 간 자개를 옻칠한 나무에 붙여 장식하는 나전 칠기가 많이 만들어졌다.
13 고려의 □□□□□은 거란을, □□□□□은 몽골을 격퇴하려는 염원을 담아 만들어졌다.
-> 고려의 초조대장경은 거란을, 팔만대장경은 몽골을 격퇴하려는 염원을 담아 만들어졌다.
14 팔만대장경은 현재 □□ □□□에 보관되어 있고, □□ □□ □□으로 등재되어 있다.
-> 팔만대장경은 현재 합천 해인사에 보관되어 있고, 세계 기록 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다.
15 고려 시대에 세계 최초의 금속 활자 인쇄본인 “□□□□□□”이 인쇄되었으나 현재 남아 있지 않다.
-> 고려 시대에 세계 최초의 금속 활자 인쇄본인 “상정고금예문”이 인쇄되었으나 현재 남아 있지 않다.
16 현존하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금속 활자 인쇄본인 “□□□□□□”은 고려 시대 □□ □□□에서 간행되었다.
-> 현존하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금속 활자 인쇄본인 “직지심체요절”은 고려 시대 청주 흥덕사에서 간행되었다.
17 “□□□□□□”은 현재 프랑스 국립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.
-> “직지심체요절”은 현재 프랑스 국립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.
18 □□□ 양식은 지붕을 받지는 공포를 기둥 위에만 두는 구조이다.
-> 주심포 양식은 지붕을 받치는 공포를 기둥 위에만 두는 구조이다.
19 영주 □□□ □□□□은 팔작지붕의 □□□ 양식 건물로, 구조상 안정감을 주기 위해 □□□기둥으로 되어 있다.
->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은 팔작지붕의 주심포 양식 건물로, 구조상 안정감을 주기 위해 배흘림기둥으로 되어 있다.
20 영주 □□□ □□□□, 예산 □□□ □□□, 안동 □□□ □□□은 고려 시대 대표적인 주심포 양식의 건물이다.
->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, 예산 수덕사 대웅전, 안동 봉정사 극락전은 고려 시대 대표적인 주심포 양식의 건물이다.
21 안동 □□□ □□□은 현존하는 우리나라 □□ 건축물 중 가장 오래된 것이다.
-> 안동 봉정사 극락전은 현존하는 우리나라 목조 건축물 중 가장 오래된 것이다.
22 고려 후기에는 공포가 기둥과 기둥 사이에도 있는 □□ 양식이 나타났다.
-> 고려 후기에는 공포가 기둥과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 양식이 나타났다.
23 고려 후기에 만들어진 대표적인 □□ 양식의 건축물로, 사리원 □□□ □□□을 들 수 있다.
-> 고려 후기에 만들어진 대표적인 다포 양식의 건축물로, 사리원 성불사 응진전을 들 수 있다.
24 고려 시대 천체와 기상 관측을 담당하는 관청으로 □□□가 설치되었다.
-> 고려 시대 천체와 기상 관측을 담당하는 관청으로 사천대가 설치되었다.
25 고려는 원 간섭기에 들어오면서 원의 역법인 □□□을 사용하였다.
-> 고려는 원 간섭기에 들어오면서 원의 역법인 수시력을 사용하였다.
26 고려 시대에 현재 전하는 가장 오래된 의학 서적인 “□□□□□”이 간행되었다.
-> 고려 시대에 현재 전하는 가장 오래된 의학 서적인 “향약구급방”이 간행되었다.
27 고려 말 최무선의 건의로 화약과 화기 제작을 맡은 □□□□이 설치되었다.
-> 고려 말 최무선의 건의로 화약과 화기 제작을 맡은 화통도감이 설치되었다.
28 최무선은 □□를 이용해 □□에 침입한 왜구를 격퇴하였다.
-> 최무선은 화포를 이용해 진포에 침입한 왜구를 격퇴하였다.
'한국사 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한국사 키워드 노트 정리 ( 삼국시대) (0) | 2022.01.17 |
---|---|
한국사 키워드 노트정리 (선사시대~여러나라의 성장) (1) | 2022.01.16 |
큰별쌤 최태성의 별★별 한국사 (심화 1-3급 별 채우기) – 14강 고려(문화1) (0) | 2022.01.16 |
큰별쌤 최태성의 별★별 한국사 (심화 1-3급 별 채우기) – 13강 고려(경제, 사회) (0) | 2022.01.16 |
큰별쌤 최태성의 별★별 한국사 (심화 1-3급 별 채우기) – 12강 고려(외교) (0) | 2022.01.16 |
댓글